
알제리의 한 시골 마을, 조용하고 평화로운 마을이다. 이 시골 마을에서 유명 브랜드 디올의 수석 디자이너가 된 남자가 있다. 그의 이름은 입 생 로랑. 유명 명품 패션 브랜드 ‘입 생 로랑’의 창립자이다. 이 영화는, 패션 디자이너인 입 생 로랑의 인생을 담은 영화이다. 영화는 한 남자의 내레이션으로 진행된다. 남자의 이름은 피에르. 입 생 로랑의 동업자이자, 연인이다. 생 로랑의 인생에 없어서는 안 될 인물로 그의 정신적 지주였으며, 때로는 사랑스러운 연인이기도 했다. 생 로랑이 전쟁에 징집되었다가, 복무 부적응으로 얻은 우울증 때문에 정신 병원에 있을 때, 피에르가 없었더라면 그는 그 상황을 이겨낼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 이 영화는 한 천재의 인생 이야기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사랑이야기이기도 하다. 인..
- 유로존 실업률이 약 11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음. 이 소식들이 투자자들의 투심을 자극함. - 유로존 주식이 지난 18개월간 20%가량 하락했음. JP모건은 주가수익비율이 완전히 저평가 된 지점이라며 유로존 주식에 투자하기 좋은 시점이라고 주장. - 유로존의 경제지표는 여전히 부진. 그러나 통화공급량이 개선되고 있다는 것은 긍정적. - 현재의 경기부진, 브렉시트, 무역 불확실성, 우럽 내 정치적 압력 고조등은 위험요인. - 미·중 무역협상 주시해야 할 것. - 미국이 미국자본의 중국 유입을 차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불안감 증폭 - 미국과 중국이 내달 고위급 무역 협상을 재개한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우려와 기대가 교차중 계속해서 부진해오던 유럽증시가 반등의 기회를 찾고 있..

경제뉴스의 증권 관련 부분을 보면 항상 있는 기사는 코스피지수의 등락에 관한 내용이다. 매일 소폭으로 오르고 내리고를 반복하는 코스피지수. 과연 누가 코스피지수를 움직이는 걸까? 바로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투자자이다. 물론 개인투자자도 코스피를 거래하지만, 자금의 규모면에서 보면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투자자가 압도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이 코스피 상장 종목을 대량 매수하면 코스피지수가 상승하는 것이고, 대량 매도하면 코스피지수가 하락하는 것이다. 코스피지수가 오르고 내린 이유, 즉 투자자들이 매수하고 매도한 이유를 살펴보면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에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경우, 투자자들은 자산을 안전한 쪽으로 돌리려는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트럼프 미 대통령의 탄핵 우려와 미, 중..

시계가 좋아서, 아니면 패션을 위해 손목시계를 구매하는 분들은 아직도 많다. 요즘은 단순히 시간표시외에도 많은 기능을 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가 있지만, 수많은 부품들을 통해 다이얼에 바늘들을 움직이는 오토매틱 시계의 감성을 무시하진 못한다. 요즘도 여러 매체를 통해 롤렉스나 오메가, 오데마 피게 등 고가의 시계에 관한 정보가 널리 퍼지면서 오토매틱 시계에 입문하고자 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오늘은 오토매틱 시계 입문자들에게 추천하는 시계 브랜드들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보겠다. 1. 티쏘 티쏘는 오토매틱 시계를 입문하는 분들이 많이 접하는 시계 브랜드이다. 나도 티쏘의 시계로 오토매틱 시계를 처음 접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스위스 메이드 시계를 접할 수 있는 이 브랜드는 역사도 깊다. 1853년..

열심히 돈 벌고, 커피값, 담뱃값 아껴가며 열심히 적금에 돈을 넣게 된다면 어느 순간 목돈이 생겨있을 것이다. 열심히 번 돈인 만큼 안전하고 소중하게 운용하고 싶기도 하겠지만, 지금부터가 재테크의 시작이다. 어느 정도 시드머니가 생겼으면 적절한 투자를 통해 그 돈을 불려야 하는데, 거기에는 수없이 많은 방법이 있다. 오늘은 주식이나 펀드와는 조금 다른 녀석을 소개해보려고 한다. 바로 ELS와 DLS라고 하는 녀석이다. 우선 ELS는 Equity-Linked-Securities의 약자로, 어떤 주식의 주가나 주가지수에 연계되어 그 수익이 결정되는 증권이다. 국내의 코스피지수와 해외의 s&p500 등과 같은 주가지수에 투자가 가능하다. ELS는 투자상품임에도 불구하고 원금을 보장하는 상품들이 일부 있다. 물..

목돈 굴리기의 가장 기본적인 상품으론 정기예금이 있다. 저금리 시대에 들어서면서 메리트가 많이 없어지긴 했지만, 정기예금이 필요한 분들이 있기에 은행별 정기예금 상품을 소개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한다. 선정 은행은 국민, 신한, 우리, 수협은행으로 하였고 각 은행의 정기예금 상품들로 골라보았다. 해당 글은 단순히 은행별 예금 상품의 금리 비교를 위해 작성되었으며 특정 은행을 홍보하려는 의도는 없습니다. 또한, 단순 금리비교를 위해 작성된 글인 만큼 우대금리에 관한 사항 등 일부 내용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해당 은행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해당 게시글의 내용은 작성일인 19년9월24일 기준입니다. 상품의 내용은 각 은행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으며 더 자세..

언어의 정원은 애니메이션 영화로 '초속 5cm', '너의 이름은' 등으로 유명한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작품이다. 비 오는 날의 도시를 배경으로, 서정적인 피아노 소리로 그려지는 분위기를 느껴 볼 수 있다. 주인공 '타카오'는 비 오는 날 아침에는 항상 지각을 하는 소년이다. 구두장이라는 현실과는 다소 동떨어진 꿈을 꾸는 그는, 비 오는 날 아침에는 학교 대신 공원으로 가서 스케치를 하는 등 온전히 자신만을 위한 시간으로 아침을 보낸다. 그런데, 매일 자신만 이용하던 그 공원에 정장 차림의 한 여자가 초콜릿과 맥주를 먹으며 앉아 있다. 20대 중반으로 보이는 아름다운 여성의 이름은 '유키노'이다. 비 오는 날 아침, 정장을 입고 회사 대신 공원에 있는 유키노와 학교에 가지 않고 공원에 있는 타카오. 이 둘..

쌀 때 샀다가 비쌀 때 파는 차익거래가 주식의 기본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그 외에도 주식 보유 중에 배당금을 받기 위해 투자하는 투자자도 있다. 나도 매매차익보다는 배당금을 통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를 지향하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배당주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한다. 배당주란 무엇일까? 배당주란 배당금액이 은행의 정기예금 이자보다 커서 투자했을 때 그 이자보다 높은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주식이다. 배당이라는 것은 회사가 벌어들인 당기순이익 중 일부를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개념이다. 그래서 배당이라는 것은 당연하게도 매년 동일할 수는 없지만, 일부 기업들은 꾸준한 높은 배당성향으로 배당주 투자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많고 많은 주식들 중에 어떤 게 배당을 많이 주고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