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코로나 펜데믹 사태로 인해 전 세계는 큰 규모의 양적완화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시중에 큰 규모의 돈이 풀렸고, 실물경제는 부진하지만 물가는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2022년에 들어서고 높은 수준의 백신 접종률로 인해 코로나 사태가 종결되어가기 시작하자 국가는 시중에 풀려있는 자금을 회수해, 물가를 잡고 경기 안정화를 시켜야 겠다고 판단하게 된다. 큰 규모로 자금을 풀었던 미국은 테이퍼링 시행과 더불어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자금 회수의 의지를 보여주었다. 금리 인상은 현재 진행형이며, 한 번에 0.75퍼센트나 금리를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6월과 7월 연속적으로 시행하기도 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미국 달러의 가치가 높아진다. 즉 환율이 상승한다. 미국의 금리 상승으로 인해 전 세계의 자금은 미국으로 모이게 된다. 늘어난 수요로 인해 달러의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우리나라는 기존보다 더 비싼 금액으로 달러를 매입해야 한다. 달러의 가격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수입과 수출로 먹고산다고 할 만큼 무역의존도가 큰 국가이다. 그렇기 때문에 환율의 상승은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데, 해외 원자재 수입 등의 수입 입을 할 때 기존보다 더 큰 지출이 발생하게 되며 그렇게 가공된 생산품은 기존보다 높은 가격을 형성하게 되고, 가격 경쟁력을 잃게 되어 수출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도 금리를 올려 높아지는 환율에 방어하면 된다고 생각 할 수 도 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코로나 이전부터 상당히 오랜 기간 유지된 저금리시대와 더불어 시중의 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어가면서 높은 규모의 부동산 가격 상승이 있었고, 은행의 대출이자 부담이 적다고 판단한 사람들이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최대 한도의 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구입하는 소위 "영끌족"이 다수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영끌족"은 상당한 가계부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인상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다. 국가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미국의 금리인상에 맞추어 함께 단기간 높은 수준의 금리인상을 시행하는 것은 가계경제를 해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미국과 비교하면 적은 수준이긴 하나, 꾸준히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필자의 업무환경에서는 이러한 금리 상승으로 인한 개인의 채무불이행을 다수 목격한 경험이 있다. 그러나 금리인상을 멈추는 것도 환율 상승을 가속화 시키는 꼴이 되니 어려운 상황이라고 할 수 있겠다.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