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은행의 예금금리가 많이 떨어진 저금리 시대에 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 수단으로 펀드나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처음 재테크를 시작하시는 분들은 기준점을 잡기가 쉽지 않아서 금세 포기하고 예금으로 돌아서는 분이 많은데,

오늘은 누구나 손쉽게 접근 가능한 배당펀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다.

 

배당펀드의 장점

첫째, 전문가의 기준으로 고른 배당수익이 좋은 주식들로 구성되어 있어,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얻는 것이 가능하단 점이다. 

 

둘째, 해외 배당주로 구성되어 있는 펀드를 통해 손쉽게 해외 고배당주에도 투자가 가능하단 점이다.

미국의 주식은 분기별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펀드의 가치가 하락했다고 해도 분기별로 배당금이 들어와서 보다 안정적으로 재테크를 할 수 있다.

 

셋째, 당연한 말이지만, 은행의 예금금리보다 높은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다.

고배당주 같은 경우 6% 이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중 예금금리가 2% 내외인 것을 생각해보면 상당히 높은 수익을 얻는 셈이다.

 

추가로 펀드 자체의 가격이 올라서 매매차익을 얻을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겠다.

배당펀드 역시 일반 펀드와 마찬가지로 증권사의 HTS나 MTS를 통해 쉽게 만나 볼 수 있다.

 

추천펀드

내가 직접 보유하고 있는 펀드를 추천해보려고 한다. 

KODEX 미국 S&P고배당 커버드콜(합성 H)

 

KODEX

코덱스 공식홈페이지, 증권사 리포트모음, 대한민국 ETF 시장의 선도자, KODEX는 국내 시장을 뛰어넘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ETF 운용사를 지향합니다.

www.kodex.com

바로 이 상품이다. 

내가 투자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유동성과, 현금흐름이다.

때문에 부동산 등 실물투자보다는 주식과 펀드에 집중해서 투자하며,

지속적으로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배당주에 투자하는 것이다.

이 상품 같은 경우는 미국 S&P지수중 고배당주를 53개 매수하여 운용하기 때문에,

미국 배당주에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과 이로 인해, 분기별로 배당금이 나온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 상품은 파생상품을 합성해서 커버트 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커버트 콜은 파생상품 중 하나인 콜 옵션을 매도하여 주가의 하락을 방어하는 전략이다.

옵션에 대해서는 아래에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관심 없으신 분들은 구분선 넘어서 부터 읽으면 된다.

 

 

 


옵션이란?

파생상품 중 하나인 옵션은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사고파는 것인데, 콜옵션은 살 권리를 의미한다.

콜옵션을 매수할 경우 매수인에게는 권리가 매도인에게는 의무가 주어진다. 

콜옵션을 이용해서 주식을 더 싸게 살 수 있으면 매수인은 권리를 행사해서 시장 가격보다 싸게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고,

매도자는 싸게 주식을 팔아야 하는 것이다.

만약 주식이 더 비싼 상황이라면 매수인은 가격 행사를 하지 않을 것이고,

콜옵션을 판 매도자는 콜옵션을 팔았던 가격만큼 이득을 얻는 것이다.

결론으로 주식이 오르는 상황이라면 콜옵션 매수자에게 이득이,

주식이 떨어지는 상황이라면 콜옵션 매도자에게 이익이 발생하는 것이다. 


 

때문에, 이 상품은 파생상품을 이용해서 주가 하락을 방어하고 안정적인 배당수입이 가능하게 해 준다.

배당펀드는 ETF라는 펀드로 만들어지는데 ETF에 관한 글은 링크를 통해 남겨놓겠다.

 

코스피지수 등 다양한 지수에 투자해보자, 다양하고 쉬운 투자방법 인덱스펀드와 ETF

재테크하면 가장 기본적으로 생각나는 것이 주식과 펀드이다. 주식은 개별종목에 대한 위험성 때문에 처음 투자하시는 분들은 주로 펀드를 많이 고민하게 되는데 그런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펀드가 바로 인덱스펀..

bookwithstory.tistory.com

ETF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배당주에 투자가 가능하다.

내가 보유하고 있는 위의 펀드뿐만 아니라, 국내 주식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배당펀드,

중국의 배당주로 이루어져 있는 펀드 등 투자자의 입맛에 맞게 투자가 가능하다.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배당펀드에 대해 알아보았다.

상당히 매력적인 투자처로, 재테크를 시작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린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