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주식을 투자하기에 앞서 우리는 간단하게라도 주식에 대한 분석을 해야 한다.

가장 기초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이 기본적 분석인데,

기본적 분석을 위해선 재무제표를 어느 정도 볼 줄 알아야 한다.

기본적 분석을 위해선 회사의 자산, 자본 부채, 당기순이익, 영업이익 등

해당 기업이 어떻게 운영이 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적혀있는 것이 바로 재무제표이다. 

재무제표에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를 통해

기업의 건전성이나 수익성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해당 기업 사이트에 들어가 공시자료를 살펴보는 것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사이트 DART를 이용하는 것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사이트 DART

 

전자공시시스템 - 대한민국 기업정보의 창, DART

 

dart.fss.or.kr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들어가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사업보고서 확인하는 법

이제 이 사이트 화면 가운데에 있는 회사명에 알아볼 기업의 이름을 입력하고

알아보고 싶은 연도를 포함해 기간을 설정한다. 

기간을 설정 한 다음에 아래 화면과 같이 정기공시를 클릭한 후 사업보고서를 클릭한다.

반기보고서나 분기보고서가 필요한 경우 해당 체크박스를 클릭하면 된다.

그리고 검색을 하게 되면 해당 보고서의 목록이 쭉 나오게 된다. 

목록에 있는 사업보고서 중 알아보고 싶은 기간의 사업보고서를 클릭하면 

다시 아래와 같은 창이 하나 뜨게 된다.

 

사업보고서가 열렸으면 우리에게 필요한 재무에 관한 사항을 클릭해야 한다.

간단하게 알아보고 싶으면 요약 재무정보를, 더 깊게 분석할 사항이 있으면 연결재무제표를 클릭해서 

내용을 확인하면 된다.

 

요약 재무정보를 통해서도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부채와, 자본 등을 이용해 

기업의 건전성이나, 수익성이 양호한 지 알아볼 수 있다.

그중 건전성을 알아보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로 부채비율인데, 

부채비율은 부채총액을 자기 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간단한 계산으로 알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의 부채총액이 10억이고 자기 자본이 10억 일 경우

A기업의 부채비율은 1이라고 본다.

부채비율 = (부채총액/자기 자본)

자기 자본 = (자본금+법정준비금+잉여금)

부채비율이 1 이하인 기업을 건전하다고 보는데, 해당 기업의 업종에 따라 이 기준은 달라질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다양한 계산식을 통해 많은 정보를 알아낼 수 있지만,

단순히 당기순이익이나, 영업이익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지, 감소하는지에 따라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기업인지 확인해 볼 수도 있다.

주식투자 있어서 꼭 알아야 할 기본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에 필요한 재무제표를 볼 수 있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철저한 분석을 통해 꼭 성투하시길 바라본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